임상심리학

심리 평가의 종류

지능검사

지능검사는 개인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대표적으로 웩슬러 지능검사(WAIS, WISC 등)가 사용된다. 언어적 이해, 작업 기억, 처리 속도, 지각 추론 등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아동부터 성인까지 적용 가능하며, 학습장애나 발달 지연, 인지적 강점과 약점 파악에 유용하다. 임상심리사는 이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지원이나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객관적인 지적 능력 측정은 진단과 개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성격검사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 구조, 감정 상태, 대인관계 방식 등을 평가하는 도구다. 대표적으로 MMPI-2, MBTI, TCI, 16PF 등이 있으며, 특히 MMPI-2는 정신질환 선별에 널리 사용된다. 객관적 성격검사와 투사적 성격검사로 나뉘며, 상황에 따라 병행 사용되기도 한다. 내담자의 사고 방식이나 감정 조절 특성을 파악하여 치료 접근법을 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성격검사는 치료 전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장기 치료 시 변화도 평가할 수 있다.

투사검사

투사검사는 개인의 무의식적 심리 과정을 탐색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 TAT(주제통각검사), 그림검사 등이 있다. 구조화되지 않은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감정, 갈등, 욕구 등을 파악한다. 타 검사에 비해 주관적 해석이 필요하지만,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특히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리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 적합하다.

신경심리검사

신경심리검사는 뇌 기능과 관련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주로 뇌손상, 치매, 주의력결핍장애(ADHD) 평가에 활용된다. 기억력, 주의력, 실행기능, 언어 능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대표적으로 Luria-Nebraska, NEPSY, K-WISC의 일부 하위검사 등이 있다. 검사 결과는 신경학적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준다. 뇌 질환이나 발달적 문제의 기능적 영향을 평가할 때 필수적인 도구다.

행동 관찰 평가

행동 관찰 평가는 내담자의 실제 행동을 통해 심리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상담실, 학교, 병원 등에서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문제 행동의 패턴이나 유발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아동이나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대상자에게 효과적이다. 비언어적 반응, 정서 표현,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소가 평가 대상이 된다. 행동 변화 중심의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매우 중요하다.